세상국어사전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세상국어사전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375)
    • 2026수능특강문학사전 (4)
    • 2025수능특강문학사전 (1)
    • 2024수능특강문학사전 (75)
    • 국어모의고사사전 (62)
    • 가사문학사전106편 (106)
    • 시조문학사전74편 (17)
    • 고대가요향가문학사전 17편 (1)
    • 국어문법사전 (19)
    • 국어교과서해설사전 (38)
    • 논술기출사전 (2)
    • 경제용어사전700 (15)
    • 심리학사전 (34)

검색 레이어

세상국어사전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가사문학사전_9 권학가_위백규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8 권선징악가_작자 미상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7 관서별곡_백광홍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6 관동별곡_정철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5 고공답주인가_이원익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4 고공가_허전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3 계자사(아들을 훈계하는 노래)_김상직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2 거사가_작자 미상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가사문학사전_9 권학가_위백규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위백규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9. 권학가勸學歌 ⓛ 작품명 : 권학가勸學歌 ② 작자명 : 위백규(魏伯珪, 1727~1798) 위백규는 조선시대 후기의 실학자로서 영조 3년에 전남 장흥에서 태어나 정조 22년에 세상과 이별하였다. 그의 자는 자화子華요, 호는 존재存齋 또는 계항桂巷·계항거사桂巷居士이며 본관은 장흥長興. 진사 문덕文德의 아들로 39세 때 생원시에 합격했고, 학문에만 전념하다가 70세 때 옥과 현감을 지냈다. ③ 출전 : 필사본 《존재가첩存齋歌帖》 ④ 해제 〈권학가〉는 《존재가첩》의 맨 끝에 실려 있어 34행 68구만 남고, 그 뒤는 낙장이 된 것이므로 전모를 알 수 없다. 그리고 필사본에는 작자를 밝히..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1:36

가사문학사전_8 권선징악가_작자 미상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작자 미상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8. 권선징악가勸善懲惡歌 ① 작품명 : 권션징악가勸善懲惡歌 ② 작자명 : 미상 ③ 출전 : 《악부樂府》(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④ 해제 작품에 앞서 서문에 해당하는 글이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변방고을 수령으로 부임한 지 수개월 동안 많은 폐해를 목도하고 이를 시정하기 위해 선을 권하고 악을 징계하는 글을 짓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작품의 내용은 선악 일반에 대한 내용을 두루 포괄하기보다는 효·불효에 대한 내용으로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하여 효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효와 불효의 양상을 대비적으로 서술하였다. ⑤ 현대어 풀이 (*원문은 중세국어 표기 깨짐이 발생하여 생략하였..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1:21

가사문학사전_7 관서별곡_백광홍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백광홍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7. 관서별곡關西別曲 ① 작품명 : 관서별곡關西別曲 ② 작자명 : 백광홍(白光弘, 1522∼1556) 백광홍은 전남 장흥 출생. 김인후·기대승·양응정·정철·최경창 등 당대 호남 명사들과 교유하였고 시문에 뛰어났다. 35살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아우 백광안·백광훈·종제 백광성 등 집안 4형제가 ‘백씨사문장白氏四文章’으로 칭송받았다. ③ 출전 : 목판본 《기봉집岐峯集》 ④ 해제 〈관서별곡〉은 우리나라 유람기행가사의 첫 작품으로, 정철의 〈관동별곡〉보다 25년이나 앞서 지어져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백광홍의 나이 34살 때인 1555년 평안도 평사評事 벼슬살이에 나아갔을 때 그곳 지방..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1:17

가사문학사전_6 관동별곡_정철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정철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6. 관동별곡關東別曲 ① 작품명 : 관동별곡關東別曲 ② 작자명 : 정철(鄭澈, 1536∼1593) 정철은 서울 출생으로, 조선시기 최고 시인 가운데 한 사람. 을사사화 여파로 아버지를 따라 유배지 생활 후 전남 담양에서 성장했다. 호남의 명유들에게서 수학했으며, 벼슬길에 나아간 후 서인의 영수로 활동했다. 우리말의 연금술사로서 가사 문학사에 금자탑을 쌓았다. ③ 출전 : 이선본 《송강가사松江歌辭》 ④ 해제 〈관동별곡〉은 작자의 나이 45살 때인 1580년 강원도 관찰사에 제수되어 그해 3월 내외해금강과 관동팔경을 두루 유람하면서 마주친 산수·풍경·고사·유적·풍속 등에 대한 감회를 활달·..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1:12

가사문학사전_5 고공답주인가_이원익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이원익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5. 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 ① 작품명 : 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 ② 작자명 : 이원익(李元翼, 1547~1634) 이원익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자字는 공려公勵이며,호號는 오리梧里이다. 1569년(선조 2)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지내다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 유배되었다. 인조반정 후 다시 영의정에 올랐다가 은퇴했다. ③ 출전 : 필사본 《잡가雜歌》 ④ 해제 이 작품은 〈고공가〉에 대한 답변 형식으로 이원익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고공이 주인에게 답하는 노래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 작품의 화자는 애초부터 고공이 아니라 종의 신분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1:05

가사문학사전_4 고공가_허전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허전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4. 고공가雇工歌 ① 작품명 : 고공가雇工歌 ② 작자명 : 허전(許㙉, 생몰년 미상) 허전은 조선시대 선조조의 인물로 정확한 활동 사항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수광(李睟光:1563~1628)의 《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고공가〉는 당시 진사로 무과에 급제하였던 허전이 지은 것이다”라는 기록을 남겼다. ③ 출전 : 필사본 《잡가雜歌》 ④ 해제 이 작품은 〈고공답주인가〉와 더불어 이른바 연작형 가사라 할 수 있는데, 각각 주인(고공가)과 고공(고공답주인가)의 입장에서 한 집안을 어떻게 경영할 것인가에 대한 진단과 대응책을 제시하고 있다. 두 작품은 모두 필사본 가사집인 《잡가》(김동욱 소장..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0:49

가사문학사전_3 계자사(아들을 훈계하는 노래)_김상직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김상직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3. 계자사戒子詞 ① 작품명 : 계자사戒子詞 ② 작자명 : 김상직(金商稷, 1750~1815) 조선후기의 선비, 학자. 본관은 울산이다. 자는 교여, 호는 죽국헌이다. 59세에 전북 장수에 있는 팔공산에 들어가 은거한 후 3년 만에 마을로 내려와 한거하였다. 저서로 《죽국헌유고》가 있으며, 여기에 시조 3수, 가사 3편이 실려 있다. ③ 출전 : 《죽국헌유고》 ④ 해제 아이들을 훈계하는 노래로 지어 아침저녁으로 암송하게 하였다고 전하는 작품이다. 훈계의 핵심은 학문에 힘쓰라는 것이다. 인간이 금수와 다른 것은 인·의·예·지가 있기 때문이니 이를 깨우쳐 도를 행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학..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0:41

가사문학사전_2 거사가_작자 미상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거사가 _작자 미상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2. 거사가居士歌 ① 작품명 : 거사가居士歌 ② 작자명 : 미상 ③ 출전 : 이용기 편, 《악부樂府》(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④ 해제 〈거사가〉는 작자와 창작 시기를 알 수 없는 조선 후기 가사이다. 거사居士는 일반적으로 출가하지 않았으면서도, 불교의 계戒를 받고 법명法名을 가진 남자를 지칭한다. 이 작품은 불도佛道를 닦는 것에 전념해야 할 화자가 파계하기까지의 과정을 거사와 과부의 대화 형식을 통해 진행하고 있으며, 작품의 중간 중간에 제3의 인물인 서술자의 목소리가 개입되어 있기도 하다. 먼저 속세를 떠나 산에 숨어 사는 거사居士가 산에서 우연히 여인을 발견하고, ..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0:2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47
다음
TISTORY
세상국어사전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