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4 수능완성 문학작품 해설-현대시-문-오규원_분석

2024수능특강문학사전

by 국어벅스 2023. 7. 3. 00:37

본문

 현대시 문(오규원)일상적인 '문'에 대한 기존 통념을 비틀어 '낯설게 하기' 기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하고 있는 작품이다. 문이 지닌 일반적 속성인 열림과 닫힘에 대한 기존 인식을 부정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연결의 속성을 가진 문이 단절의 속성을 지닌 담이나 벽이 된다고 하며 일상적인 인식을 비틀고 있다. '어느 집이나 문이 있다' 시구의 반복, '~이 없듯', '~지 않다'와 같은 부정적 서술,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을 통해 문에 대한 일반적 시각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전개하여 통념을 뒤집는 발상을 보여주고 있다.

 

[주제] 문에 대한 통념 뒤집기, 문이 가진 일반적 인식에 대한 비판

 

수능완성문학작품해설-현대시-문-오규원

 

 

 

 

오규원 <문> 핵심정리

• 갈래: 현대시

• 성격: 비판적, 성찰적, 저항적

• 표현: 반복과 변주, 통사구조의 반복, 대구법, 대조법, 낯설게 하기, 모순형용

• 주제: 문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비틀기

• 특징

- 일상적 소재를 활용한 비판적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 사물의 속성을 통해 통념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 낯설게하기 기법을 활용하여 사물에 대한 인식을 뒤집고 있다.

- 문의 일반적인 기능 자체에 대한 의문 제기를 통해 새로운 관점을 보여준다.

- 통념을 뒤집어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 고정관념에 대한 비판과 저항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 고정된 사고에 매몰된 사회에 대한 경고와 비판을 드러내고 있다.

- 기존 인식에 대한 비판적 태도를 통해 발상의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대립적 요소를 활용하여 고정관념을 뒤집고 있다.

- 모순 형용을 통해 문이 지닌 대립적 속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 문은 열려 있다고 해서 / 언제나 열려 있지 않고 등

- 문이 지닌 속성의 아이러니(열림↔단절)를 통해 상투적인 세계를 새롭게 바라보는 시인의 시각을 담아내고 있다.

- 열림과 닫힘과 같은 대조되는 속성들로 인해 발생한 상호 모순성을 가진 문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 부정적 서술어의 반복을 통해 사회적 통념에 대한 저항적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 단정적 진술을 사용하여 사회적 현상에 대한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 특정 구절을 반복하여 시상이 전개될수록 '문'에 대해 가지고 있는 통념을 비틀고 있다.

- 유사한 통사 구조의 반복을 통해 시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 명제적 진술을 통해 시인의 생각을 단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 역설적 인식을 통해 대상이 지닌 모순을 보여주고 있다.

 

• 구조(시상 전개)

1연: 어느 집에나 있는 문과 크기에 따른 열림의 가능성

2연: 열림과 닫힘에 대한 통념 부정

3연: 문의 일반적 속성에 대한 균열

4연: 문의 속성과 열림에 대한 가능성 변화

5연: 담과 벽이 되는 문

6연: 담이나 벽보다 더 든든한 속성을 가진 문

 

 

오규원 <문> 이해와 감상

 <문>은 일상에서 수없이 접하는 '문'에 대한 인식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상황이나 인식과는 달리 문이 열려 있지만 열려 있지 않다는 표현과, 연결의 속성을 가진 문이 단절의 속성을 가진 담이나 벽이 된다는 표현을 통해 문이 지닌 일반적인 속성을 무너뜨림으로써 독자를 일상에서 벗어난 낯선 세계로 초대하고 있다. '문'이 '담이나 벽보다 더 든든한 / 문이 되지 말라는 법은 없다'는 것은 '문'과 '담이나 벽'이 지닌 연결과 단절이라는 상호 모순성의 경계를 무너뜨려 모순을 통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문'이 '담이나 벽보다' 든든'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은 '문'의 단절 가능성을 강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과 '담' 혹은 '벽'을 사용하여 시상을 전개하고 있으며, 열림과 닫힘 또는 연결과 단절이라는 대립적인 요소가 짝을 이루는 이항 대립을 중심으로 시상이 전개되므로 모순 형용의 아이러니를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이 ' 열려 있다고 해서 / 언제나 열려 있지 않다고 하는 것은 상식적 세계와는 어긋나는 상황을 기반으로 한 아이러니를 활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문에 대한 인식- 고정관념 vs 새로운 시각

(1) 고정 관념(기존의 문에 대한 인식)

- 어느 집에나 문이 있다

- 문은 열려 있거나 닫혀 있다

- 담이나 벽을 뚫고 자리 잡고 있다

 

(2) 새로운 시각(문에 대한 새로운 인식)

- 닫혀 있지만 늘 닫혀 있지 않다

- 열려 있지만 늘 열려 있지 않다

- 담이나 벽과는 다른 모양으로 자리 잡는다

 

➡️ 이 작품은 (1)고정 관념과 (2)새로운 시각의 대립을 통해 고정된 사고에 매몰된 사회에 대한 경고와 비판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문'이 지닌 대립적 속성인 '개방성', '폐쇄성'이라는 이항 대립에서 발생하는 아이러니를 통해 모순을 통합시킴으로써 사물을 바라볼 때 편협한 시각으로 판단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분법적인 사고에서 벗어난 현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보여주는 것이다. 시인은 늘 마주하는 일상에 대해 무관심한 세태를 비판하려는 의도를 엿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바라볼 때 고정된 관습적인 시각으로 판단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낯설게 하기-모순과 대조적 속성

 오규원 <문>은 기존 통념을 뒤집는 발상을 보여주는 '낯설게 하기'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낯설게 하기는 우리의 삶에서 일상화되어 친숙한 사물이나 관념을 새롭게 느껴지도록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 작품에서는 '낯설게 하기'를 활용하여 '어느 집에나' 있는 '문'이 당연히 열리고 닫힐 것이라는 통념을 부정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연결의 속성을 가진 문이 단절이라는 속성을 가진 '벽이나 담'이 되고 심지어 더 든든한 단절의 속성을 가진다고 하며, 연결과 단절이라는 이중적이고 대립적인 모순적 속성을 통합시킴으로써 당연하다는 생각을 비틀어 새로운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보도록 하고 있다. 

 

수능완성 현대시 <문> 오규원 필기용 본문 한글파일, pdf파일 다운로드

 

2024 수능완성 문학 작품 한글파일, pdf파일_복습용 본문_손필기용 본문_수능완성 문학 38작품 목차

2024 수능 연계교재 수능완성 문학작품 한글파일, pdf파일 수능특강에 이은 수능 연계교재 수능완성 한글파일, pdf파일입니다. 제공해 드리는 파일은 '수능완성' 교재에 실린 문학작품 본문을 여러

gugeobucks.tistory.com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