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4 수능완성 문학작품 해설-고전소설-백학선전-줄거리-내용분석-백학선전-추가문제-26문제

2024수능특강문학사전

by 국어벅스 2023. 7. 5. 17:29

본문

  고전소설 백학선전(작자 미상)은  애정소설이자 영웅소설로, 천상계에서 죄를 지은 두 남녀(선관, 선녀)가 지상의 인간계로 쫓겨와(적강 구조) 갖은 역경을 겪은 다음에 행복한 결말을 맺는다는 내용이다. 서사 구성면에서 남자와 여자가 모두 혼사 장애를 겪고 있는데 이를 남녀의  병립적인 구조로 이야기를 끌어가고 있다. 특히 남자 주인공을 여자 주인공이 구출해 오는 등 남자보다는 여자 주인공의 적극적인 모습을 부각하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제목 백학선전은 남녀 주인공 조은하와 유백로가 결연을 할 때 주고받은 '백학선'을 표제로 한 것이다. 소재가 제목이 되는 작품은 반드시 소설에서 소재의 의미와 기능을 정리해 두어야 한다.

 유백로와 조은하의 사랑이 사건 전개의 바탕이 된다는 점에서 애정 소설의 특징이 강하게 드러난다. 또한 조은하가 자신의 혼인에 대한 의사를 적극적으로 밝히고, 오랑캐를 물리치고 유백로를 구한다는 점에서 여성 영웅 소설로서의 면모도 드러난다. 이 작품의 핵심 소재인 ‘ 백학선’은 두 사람을 고난에 빠지게도 하고, 두 사람을 다시 만나게도 하는 역할을 한다.

 

[주제] 남녀 간의 신의 있는 사랑과 호국, 우국충정

 

2024수능완성-백학선전-고전소설-작품해설

 

 

 

작자 미상 <백학선전>  핵심정리

• 갈래: 고전소설

• 연대: 조선후기

• 성격: 애정소설, 영웅소설, 적강소설

• 표현: 징표(백학선)를 활용하여 주제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 주제: 남녀 간의 신의 있는 사랑과 호국

• 서술상 특징

-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서술되고 있다.

- 적강 모티프를 활요하여 작품을 전개하고 있다.

-적강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유교적 충의보다 남녀 간의 애정 관념을 중시하고 있다.

- 천상계와 지상계의 이원적 구성으로 전개되고 있다.

- 선악의 대립이 드러나 있다.

- 천상세계에서 죄를 지은 선관·선녀가 인간세상으로 쫓겨 나옴. → 적강소설(謫降小說) (신선이) 사람으로 태어남)]

- 갖은 고초 끝에 서로 만나고 또 오랜 역경 끝에 행복을 찾아 영화를 누리다가 삶을 마치는 과정을 그림. → 영웅소설, 애정소설

- 유교적 충의보다는 남녀 간의 애정의 관념을 더 중시하는 인물들.

- 여성의 권위 향상된 모습을 보임(여성의 전쟁 출전, 혼인의 자유의사 존중)

- 여성의 적극적인 태도가 나타나 있다.

- 사물의 이름을 제목으로 설정한 것이 특징적이다.

- 특정 소재(백학선)를 중심으로 서사가 전개되고 있다.

• ‘백학선’의 의미와 기능

① ‘조 낭자’가 ‘백학선’을 귀하게 간직하려 한다는 점에서 ‘조 낭자’의 절개를 강조하는 구실을 한다.

② ‘유백로’와 ‘조 낭자’가 다시 만난다고 가정할 때, ‘조 낭자’의 정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③ ‘유백로’가 ‘백학선’에 새긴 글귀로 보아 ‘유백로’가 ‘조 낭자’를 반려자로 맞이하려는 강한 의지를 상징한다.

④ ‘조 낭자’가 처음 본 소년에게서 ‘백학선’을 받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앞으로 일어날 사건을 암시하는 역할을 한다.

• 등장 인물

-유시랑(劉侍郎): 주인공 백로(伯魯)의 아버지

-유한림(유 백로) : 주인공으로 천상세계의 선동(仙童)으로서 옥황상제께 죄를 지어 지상세계로 쫓겨온 인물. 은하와 백년가약을 맺고 끝까지 신의를 지킴.

-조은하 : 여주인공. 백로를 적에게서 구출하는 적극적인 여인임.

-문상서 : 반동(부정적)인물, 유 백로를 사위로 청혼하나, 벼슬을 얻은 뒤에 하자고 거절하자 앙심을 품는다.

-최국양 : 반동(부정적)인물, 조은하를 며느리로 맞고자 하나, 백로를 생각하고는 거절하자 앙심을 품는다.

-가달 : 오랑캐의 수령.

-전홍뢰 : 주인공 백로의 외숙.

 

애정소설, 적강소설, 영웅소설  「백학선전」

 이 작품은 적강소설(謫降小說)과 영웅소설의 요소도 지니고 있지만 남녀주인공의 애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점에서 애정소설의 성격이 짙다. 혼인에 있어서, 부모나 임금의 뜻보다는 주인공들의 뜻이 더 존중되고 있고, 선뜻 받아들여지고 있는 점 또한 특징적이다. 남녀 주인공이 각기 싸움터에 자원하여 나아가는 것도 국가나 군왕에 대하여 충성하고 부모에 대해서 효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직 애인을 찾기 위해서라고 하는 점 또한 특기할 만하다. 여성의 출전을 황제가 허락하고 있다고 하는 사실도 여성의 지위 향상 및 여권(女權)의 신장 등과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이 소설은 비교적 진보적인 사상을 담고 있는 특징있는 작품으로서 조선조 후기의 작품이 아닌가 한다. 이것을 소설로 문제 삼을 때, 남주인공 유백로와 여주인공 조은하가 천상계에서 애정을 나눈 죄로 적강했다고 하는 사실과 지상계에서의 인생 편력 과정은 유기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조은하의 경우, 적강의 죄목이 ‘은하수에 오작교 놓은 것’으로 되어 있는 데 대해 유백로의 경우, 그저 ‘상계에서 득죄’ 한 것으로 되어 있는 점이 주목된다.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그리고 도서관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나손문고(舊 金東旭 소장본) 등에 소장되어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백학선전」 전체 줄거리와 구성, 짜임

전체 줄거리

 명나라 시절 유 시랑은 늦도록 자식이 없었는데 일월성신에게 빌어 아들(유백로)을 얻었다. 한편 명문 거족이었던 조성로는 명망이 널리 알려졌으나 일점 혈육이 없다가 문득 아이 (조은하)를 얻었다. 이 둘은 사실상 천상계의 선관(선동),선녀로 죄를 지어 인간계에 내려와 환생한 것이다. 어느날 선생을 찾아 가던 길에 백로는 은하를 만나 보물인 ‘백학선’을 건네 준다. 백년가약을 맺고자 하는 글귀를 써 넣은 부채였다. 백로가 장성함에 병부상서 문 상서가 백로를 사위로 삼고자 청혼하지만 이를 거절하자 앙심을 품는다. 최국양도 은하를 며느리로 삼고자 하지만 은하가 백학선을 전해 준 남자를 생각하여 혼인을 거절하자 일개 미관에 지나지 않는 자가 대신을 희롱했다며 역시 앙심을 품는다.

 백로는 과거 급제 후 어사로 부임하여 은하를 찾았으나 결국 찾지 못하고 병이 들게 되고 이에 벼슬까지 버린다. 한편 최국양은 백로의 외숙인 현령 전홍로에게 은하를 제거하도록 명하고 경성으로 올라가나 전홍로는 은하의 신세가 측은하여 조성로 일가를 도망가게 한다.

 이후 백로는 대원수의 부름을 받고 출정하여 가달을 막으려 하지만 최국양이 군사나 군수 물자를 지원하지 않아 결국 포로가 된다. 백로의 위험을 알게 된 은하는 임금께 아뢰어 구원을 자청한다. 임금은 이를 허락하고 은하는 백로를 구출해 온다. 결국 최국양은 처벌을 받고 유백로, 조은하는  연왕과  연왕비가 되어 행복하게 살다가 하늘로 올라간다.

 

구성 : 적강구조(천상에서 유배되어 지상으로 내려옴)

❶ 명나라 시절 남경 땅에 사는 유시랑(劉侍郎)은 대대로 충과 효로써 이름 높은 가문의 후예로 늦도록 자식이 없어 안타까워하였다.

❷ 부인이 일월성신에게 빌어 북두성의 지시로 아들을 얻게 되었는데, 그 이름을 백로(伯魯)라 하였다. 백로는 실상 천상세계의 선동(仙童)으로서 옥황상제께 죄를 지어 지상세계로 쫓겨온 인물이었다. [백로=한림]

❸ 운수 선생에게 가던 장성한 백로는 길가에서 여주인공인 열 살의 조은하를 만나, 집안 대대의 보물인 백학선에 ‘요조숙녀군자호구(窈窕淑女 君子好求)’라는 글귀를 써서 주고는 훗날을 기약한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헤어졌던 이들 남녀 주인공이 다시 만나서 행복을 누리게 된다. 그런데 이 조은하 역시 천상세계의 선녀로서 옥황상제께 득죄하여 지상세계로 쫓겨온 인물이었다.

❹ 병부상서 문상서가 유 백로를 사위로 청혼하나, 벼슬을 얻은 뒤에 하자고 거절하자 앙심을 품는다. 최국양도 은하를 며느리로 맞고자 하나, 백로를 생각하고는 거절하자 앙심을 품는다.

❺ 유 백로가 과거에 급제하여 남방순무어사로 부임하며 은하를 찾았으나 찾지 못하고 병이 들어 벼슬을 버린다. 이 때 오랑캐 가달이 쳐들어오자, 최국양이 입궐하여 출전하며 백로의 외숙 전홍뢰에게 은하를 죽이도록 한다. 그러나 조은하의 신세가 딱함을 알고 전홍뢰는 은하를 놓아 준다. 방황하는 은하에게서 유 태종이 백학선을 뺏으려고 옥에 가두나 실패하자 일 년만에 풀어 준다.

❻ 유 백로가 최 국양에게 원하여 대원수가 되어 가달을 막으려 하나, 최국양이 군수를 해 주지 않아 군사들은 몰살 당하고 백로는 가달에게 잡히고 만다. 방황하던 은하가 주막에서 점괘를 보고 백로가 위험함을 알고는 임금에게 자원한다. 이때는 최국양의 모함으로 백로의 가족이 옥에 갇힌 때다. 병법과 무술에 신통력이 있음을 본 임금은 조은하를 원수 가달을 치게 허락한다. 선녀의 도움으로 오랑캐를 물리치고 가달을 잡으며 백로를 구해 돌아 온다.

❼ 최국양은 처벌을 받고, 유백로, 조은하는 연왕, 연왕비가 되며 팔 순에 하늘로 올라 간다.

 

짜임 요약

• 발단 :천상계의 선관 선녀가 죄를 짓고 인간계로 쫓겨 와 각각 유백로와 조은하로 환생함.

• 전개: 운수 선생에게 가던 백로는 길가에서 열 살의 은하를 만나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보물인 백학선에 결혼을 약속하는 글귀를 써 주고 훗날을 기약함.

• 위기: 병부상서는 백로를 사위로 맞고자 하다 거절당하자 앙심을 품고, 최국양도 은하를 며느리로 맞고자 하다가 거절당하자 앙심을 품음. 백로는 과거에 급제하여 은하를 찾았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병이 듦. 

• 절정: 쳐들어 온 오랑캐 가달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백로가 가달에게 잡히자 은하가 신통력을 발휘하여 오랑캐를 물리치고 백로를 구함.

• 결말: 최국양은 처벌을 받고 유백로와 조은하는 연왕, 연왕비가 되며, 팔순에 하늘로 올라감.

 

 

천상계와 지상계의 이원적 구성, 적강구조, 적강소설, 적강모티프 개념

이원적 구성 / 적강 구성(구조): 소설의 배경이 신선이 사는 천상계와 인간이 사는 지상계로 나누어진 구성을 이원적 구성이라고 하고, 인물이 천상계에서 지상계로 내려오거나 지상계에서 인간으로 태어나는 것을 적강 구성이라고 한다.

 

적강모티프: 천상 세계의 신선·선녀가 하늘에서 죄를 짓고 지상 세계로 내려오거나 인간으로 태어나는 이야기임. 대표적인 작품으로 「숙향전」, 「유충렬전」, 「숙영낭자전」 등이 있다.

 

(작품 예시)

  “첩은 천상에 득죄(得罪)하여 인간 세상에 내려와 고초가 심하거늘 이다지도 불쌍히 여겨 대접하시니 지극히 감격하나이다.” <중략>

"저는 한낱 조그마한 신령이요, 그대는 월궁의 으뜸 선녀라. 비록 천상에서 지은 죄로 인간 세상에 내려와 일시 고생을 겪었으나 그런 말씀을 어찌 하시나이까? 선녀 가실 곳이 또한 머오니 그 사이에 고생을 많이 겪을 것이오매 쉬어 내일 가소서.” <중략>

  소아가 천상에서 득죄하여 김 상서 집에 적강한 뒤로 도적의 칼 아래 놀라게 하고, 표진강에 빠져 죽을 액을 당하고, 갈대밭에서 화재를 만나고, 낙양 옥중에서 죽을 액을 지낸 후에야 태을을 만나게 하라.’ 하시고 물 지키는 관원을 명하여 ‘기다렸다가 죽이지는 말고 욕만 뵈어 보내라 하시기에 제가 특별히 김 상서의 은덕을 갚고자 하여 자원하여 왔습니다.

- 작자 미상, 「숙향전」

→ 이 작품은 천상의 월궁 선녀와 태을성이 서로 희롱하는 죄를 짓고 각각 숙향과 이선으로 인간 세상에 내려와 온갖 시련을 극복하고 사랑을 성취한 후, 다시 천상계로 복귀한다는 내용이다. 천상계와 지상계의 이원적 구성과 천상 세계의 신선·선녀가 죄를 짓고 인간 세계에 태어나는 적강 구성이 드러난다.

 

<백학선전>의 적강구조: 천상에서 유배되어 지상으로 내려옴.

- 천상 :천상의 선관 선녀가 죄를 지어 지상으로 내쫓김.

- 지상 :유백로와 조은하로 환생하여 여러 가지 난관을 뚫고 사랑을 이룸.

- 천상 :인간 세상에서 부귀를 누리다가 천상으로 돌아감.

 

<백학선전> 이해와 감상

 「백학선전」은 내용과 문체상의 특징으로 미루어 볼 때 조선 후기에 나온 것으로 보이는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로 국문 활자본이다. 남녀 주인공들이 인연을 맺을 때 교환한 소재인 ‘백학선’을 표제로 한 작품으로 천상 세계에서 죄를 지은 선관, 선녀가 인간 세상으로 쫓겨 와서 갖은 고초 끝에 서로 만나고 또 오랜 역경 끝에 행복을 찾아 영화를 누리다가 삶을 마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남녀 주인공의 애정담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애정 소설로 볼 수 있는데, 혼인을 하는 과정에서 부모나 임금의 뜻보다 주인공들의 뜻이 더 존중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조은하가 원수가 되어 영웅적 활약을 한다는 점에서 영웅 소설로 볼 수 있으며, 남자 주인공 유백로보다 여자 주인공 조은하가 더 적극적인 면모를 보인다는 점에서 여성 영웅 소설로 볼 수도 있다.

 

 

 

제목인 소재 '백학선(白鶴扇)'의 의미와 기능 

 수능완성 교재 <보기> 내용 

 고전 소설에서는 남녀 간의 결연의 증거로 징표(徵標)를 주고받는 경우가 많다. 징표는 다양한 서사적 기능을 하는데, 하늘의 권위나 사대부 가문의 위상을 상징함으로써 징표를 주고받는 사람들이 그것을 소중하게 간직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징표는 인물들의 만남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인연이 되는 것을 매개하는 경우가 있는데, 서로가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도 절개를 지키며 서로 간의 약속을 잊지 않게 하거나 서로의 정체 를 확인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징표가 신이한 능력을 지니고 있어 관련 인물이 위기 에 처했을 때 시련을 극복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경우도 있다. 

 

➡️ <보기>에 서술된 국어 문학 개념, 작품에 대한 배경지식 등은 출제에 활용될 확률이 높으므로 반드시 내용을 정리해 두도록 한다. 여기서는 고전소설의 '징표'의 개념과 서사적 기능, 효과를 잘 정리해둔다. 

 

‘백학선’은 흰 학이 그려진 부채를 말한다. 유백로와 조은하가 만나는 시점부터 백학선이 등장하는데, 유백로는 조은하에게 집안의 보물인 백학선에 정표의 글을 써 주고는 훗날을 기약한다. 이에 조은하는 백학선을 소중히 간직하며 유백로에 대한 마음을 지키지만, 이로 인해 조은하는 여러 가지 일들을 겪게 된다. ‘조낭자가 십 세에 유자를 가지고 이 곳을 지나다가 백학선 주던 유 한림’이라는 낭랑의 말을 통해 조 낭자와 유 한림이 만났을 때 백학선과 유자를 교환했음을 알 수 있고, ‘하늘이 유의하신 백학선을 의지하여 신표를 삼을지니 내 생사 간에 잊지 못할지라. 만일 하늘이 쉽게 여기사 낭군을 찾지 못하고 내 죽을지라도 부디 백학선을 내 몸에 넣어 부모 곁에 묻어 주고’ 라는 조 낭자의 말을 통해 조 낭자가 유 한림과의 사랑의 징표로 백학선을 간직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 '백학선'은 흰 학이 그려진 부채를 말하는데, 사물의 이름을 제목으로 설정한 것이 매우 특징적이다. 사건을 이끌어 가는 것은 주인공이 가지고 있는 이 부채이다.

- 부채가 등장하는 부분이 유백로와 조은하의 만남이요, 그 부채에 쓰인 말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조은하의 집안은 몰락하고 그녀의 부모는 죽게 된다. 부채를 소유한 조은하는 시아버지로 인해 옥에 갇히고, 후에 대원수가 되어 적을 무찌르는 대목에서 부채에 그려진 학이 솟아 도움을 받는다.

- 남자 주인공인 '유백로'의 이름 또한 어머니인 김씨의 꿈에 백학을 타고 내려온 청의동자를 보고 낳았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다. 이와 같이 이 작품은 이미 태몽과 이름에서 '백학선'의 존재를 암시하고 있다. 그리하여 '백학선'은 주인공 자체의 존재 이유를 설명하는 귀중한 존재가 된다. 이 작품의 제목이 '유백로전'이 아니라 '백학선전'이 된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백학선전>에서는 주인공의 탄생 그 이전에 '백학선'이 먼저 존재한 것이다.

 

① 주인공의 존재 이유 설명 : 태몽과 주인공의 이름에서 암시

마음을 전하는 매개체 : 조낭자에게 유백로의 마음을 전함

조낭자의 절개를 상징 : 최국낭과의 혼인을 거절함>

④ 조낭자의 정체를 알게 되는 계기 : 전쟁터에서 학 나와 조낭자를 도움

⑤ 앞으로 일어날 것을 암시 : 조낭자가 처음 본 소년에서 백학선을 받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날을 암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백학선전 추가문제 26문제 문제 정답과해설

 

 

 

백학선전 문제(26문제).pdf
0.97MB
수능완성-백학선전-추가문제-26문제-정답과해설

 

수능완성 고전소설 <백학선전> 작자 미상 필기용 본문 한글파일, pdf파일 다운로드

 

2024 수능완성 문학 작품 한글파일, pdf파일_복습용 본문_손필기용 본문_수능완성 문학 38작품 목차

2024 수능 연계교재 수능완성 문학작품 한글파일, pdf파일 수능특강에 이은 수능 연계교재 수능완성 한글파일, pdf파일입니다. 제공해 드리는 파일은 '수능완성' 교재에 실린 문학작품 본문을 여러

gugeobucks.tistory.com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