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3년 4월(5월) 고3 모의고사 출제_이육사 노정기 해석 작품해설 작품정리 이육사 노정기 문제

국어모의고사사전

by 국어벅스 2023. 5. 10. 23:12

본문

2023년 4월(5월) 고3 모의고사 출제  현대시 이육사 노정기 분석 해설

 <노정기>는 조국을 잃고 세계와 단절되어 빛을 잃은 화자가 어둠 속을 걸어온 자신의 삶의 역정을 노래한 작품으로, 치열한 현실 인식에서 배태된 비극적 자기 인식이 드러나 있다. 쫓기는 마음과 지친 몸을 이끌고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 세계를 찾아가려고 하지만, ‘새벽 밀물에 밀려온 거미’같이 살아온 화자로서는 그저 물처럼 흘러가버린 지난 삶의 역정을 반추하고 있다.

 이육사의 시는 조국의 상실이라는 극한적 상황에 의한 비극적인 자기 인식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의 초기시에 주로 나타나는 심상은 ‘어둠’의 이미지이다. 조국을 잃고 세계와 단절되어 빛을 잃은 그가 어둠 속을 걸어온 자신의 삶의 역정을 노래한 대표적인 작품이 바로 <노정기>이다.

<노정기>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시적 화자의 노정은 ‘물’의 흐름을 통하여 제시되고 있다. 그것은 어둠 속에서 ‘마치 깨어진 뱃조각’처럼 여기저기 유랑하고 있기에, ‘흩어져 어설퍼진’ 마음으로 살아가는 그의 삶이야말로 다 부서진 티끌로만 남아 있을 뿐이다. 화자는 행여 젊은 날은 어떠했을까 하고 뒤돌아 보지만, ‘꿈은 서해를 밀항하는 쩡크’와 같은 고통이었으므로 그는 ‘소금에 절고 조수에 부풀어’오른 상처만을 확 인하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즐거운 추억이 되고, 현재의 삶에 활력소가 될 수 있는 젊은 시절이지만, 화자에게는 그것이 항시 고통스러운 항일 무장 독립 투쟁의 나날이었기 때문에, ‘남십자성이 비쳐주도 않’는 ‘흐릿한 밤’이요, ‘산호도는 구경도 못하는’ 고달픔일 수밖에 없었다. ‘산호도’는 그가 추구하는 이상적 세계임에는 틀림없지만 그의 시계(視界) 내에는 존재하지 않는 곳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 막막한 곳을 찾아 ‘쫓기는 마음 지친 몸’을 이끌고 가려고 하지만, ‘새벽 밀물에 밀려온 거미’같이 ‘다 삭아 빠진 소라 껍질’에 붙어 살아온 그로서는 그저 물처럼 흘러가 버린 지난 삶의 역정을 반추하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고뇌 어린 삶의 역정기로서의 이 시는 그 전 노정을 ‘물’의 이미지로 형상화시키고 있다. ‘물’과 관련된 심상은 ‘배’․‘어촌’․‘포범’․‘서해’․‘밀항’․‘짱크’․‘조수’․‘암초’․‘산호도’․‘밀물’․‘소라’․‘항구’ 등으로, 특히, 마지막 시행의 ‘흘러간 생활’에서 ‘흘러간’이라는 ‘물’의 이미지를 그의 생활에 투사하여 귀결시킴으로써 화자는 이러한 노정을 통하여 비극적인 자기 인식을 하게 된다. 치열한 현실 인식에서 비롯된 이 비극적 자기 인식은 마침내 적극적인 저항 의지로 표출되고, <광야>, <절정> 등으로 가시화됨으로써 육사는 항일 저항 문학의 거대한 정점으로 우뚝 서게 되는 것이다. (출처) 「한국 현대시 400선」, 양승준, 양승국

노정기 이육사

이육사, ⌜노정기⌟ 핵심 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출전 : ⌜자오선⌟, 1937. 12.

성격 : 비극적, 고백적, 자기성찰적, 회고적

특징 : 시적 화자의 방랑의식을 상징적 시어로 나타냄

제재 : 삶의 노정

주제 : 지난날의 어두웠던 삶을 회고함

구성 

-1연 : 화자가 살아온 방랑의 삶

-2연 : 고통과 상처만 남은 젊은 날

-3연 : 이상적인 세계를 갈망하나 존재하지 않음.

-4연~5연 : 현실의 고달픈 삶

표현상 특징

- 다양한 비유와 상징적 시어를 통해 화자의 고통스런 삶을 형상화함.

- '물'의 흐름을 통해 화자의 노정이 제시됨.

- 독백체의 어조를 통해 자기 성찰적 삶의 자세를 드러냄.

- 삶에 대한 비극적 인식이 바탕이 됨.

- 대립적 시어(산호도, 남십자성 ↔ 밤, 암초, 태풍)를 사용하여 현재의 상황을 제시함.

 

이육사, ⌜노정기⌟ 중요시어 및 시구풀이

▷ 노정기  ➡️ 여행할 길의 경로와 거리를 적은기록을 의미하는 말로, 화자는 자신이 지난 시절에 겪었던 고통스러운 삶을 회상하고 있다.

깨어진 배 조각 ➡️ 삶의 무상감과 유랑하며 불안하게 사는 삶을 의미한다.

뱃조각, 시궁치(썩은 도랑), 거미 ➡️ 모두 시적 화자를 상징한다. (비주체성, 방랑의식, 삶의 무상성)

목숨이란 마치 깨어진 배 조각 ➡️ 살아도 산 것 같지 않음

여기저기 흩어져 마을이 구죽죽한 어촌보담 어설프고

➡️ 자신의 삶을 황폐한 어촌의 풍경에서 찾음.

삶의 티끌

➡️ 지나온 결과 없는 고통스런 삶. 고통스러운 삶의 허무한 결과

포범(布帆)처럼

➡️ 베로 만든 돛

삶의 티끌만 오래 묵은 포범처럼  달아매었다.

➡️ 시적화자의 삶

항상 흐렷한

➡️ 일제하의 암담한 상황

서해(西海)를  밀항하는 쩡크와 같아

➡️ 이루어지지 않는 큰 꿈을 위해 삶을 살아왔다는 의미, 밀항하는 쩡크 = 시적화자의 꿈

소금에 절고 조수에 부풀어 올랐다

➡️ 희망과 시련의 연속이었다는 의미

밤 암초(暗礁)

➡️ 반복되는 시련과 고난

태풍(颱風)

➡️ 이상향을 향하는데 있어서 현실적 장애물을 상징함

항상 흐렷한 밤 암초를 벗어나면 태풍과 싸워가고

➡️ 반복되는 시련과 고난., 현실과 맞서는 화자의 태도 = 고군분투, 화자에게 닥치는 시대 상황 = 설상가상

전설에 읽어 본 산호도(珊瑚島)

➡️ 화자가 소망하는 공간. 이상

남십자성(南十字星)

➡️ 남십자자리에 있는 알파, 베타, 감마, 델타의 네 별을 이르는 말. 대각선으로 이으면 + 자 모양이 됨. ‘+’ 자 모양으로 보이는 네 개의 별. - 희망, 삶의 지표.

쫓기는 마음 지친 몸이길래

➡️ 시적화자의 처지

그리운 지평선(地平線)

➡️ 전설에 읽어본 산호도와 유사함. 화자가 소망하는 공간. 이상

그리운 지평선을 한숨에 기오르면

➡️ 화자의 소망, 조국 광복, 광복에 대한 염원, 광복에 대한 염원 성취를 향한 노력

시궁치

➡️ 시궁이 있는 근처 , 시궁발치의 준말

시궁치는 열대 식물처럼 발목을 오여쌌다

➡️ 시적화자를 둘러싼 어두운 현실. 비유적(직유법) 표현

새벽 밀물에 밀려온 거미이냐

➡️ 스스로의 모습을 응시 - 허탈감, 부정적 인식. 정착하지 못하고 부유함.

다 삭아빠진 소라 껍질에 나는 붙어 왔다

➡️ 허탈감 - 엄격한 자아 성찰의 산물, 의식의 불을 밝히고 지탱하기 위한 투쟁을 함. 안정적이지 못하고 불안한 삶

항구의 노정에 흘러간 생황을 들여다보며

➡️ 서해를 밀항한 이후의 노정 = 지난 시절

 

이육사, ⌜노정기⌟ 이해와 감상

  ⌜노정기⌟의 화자는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있다. 힘겹게 살아온 지난날의 어두웠던 삶을 회고하고, 쫓기는 삶의 비애를 형상화하고 있다. 현실적 장애(밤, 암초, 태풍 등)로 인해 암울하고 우울하며 슬픈 생활 속에서 이상적 삶의 세계(산호도, 남십자성)는 거리가 먼 채 슬프게 지내온 자신의 과거를 추억하고 있다. 시적 자아의 모습을 드러내는 시어로, '뱃조각', '시궁치', '거미'가 있다. 이는 커다란 역경 속에 떠돌아다니는 방랑 의식을 표현한 것이다. '밀항하는 쩡크와 같다'에서 이러한 방랑 의식이 잘 드러나 있다. 표현상 특징으로 부정적 용언과 하강적 체언이 집중적으로 사용되어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부정적 용언으로 '깨어진', '흐릿한', '못하는' 등이 사용되었고, 하강적 체언으로 '뱃조각', '티끌', '암초', '시궁치' 등이 사용되었다. 1연에서 화자는 자신의 삶을 황폐한 어촌의 풍경에서 찾으며 화자가 살아온 어두웠던 삶의 모습을 드러낸다. 2연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큰 삶을 위해 삶을 불태우고 고통과 상처만 남은 젊은 날을 회고한다. 3연에서 희망이 보이지 않는 암울한 현실적 상황을 드러낸다. 4연에서 지친 몸을 쉴 수조차 없는 어두운 현실을 제시하고, 5연에서 쫓기고 지친 '나'의 모습을 제시하며 시상이 마무리된다.  

[구성]

•1연:가난과 시련으로 점철된 삶

•2연:젊은 날을 시련과 불안 속에서 살아감.

•3연:이상 세계에 대한 희망을 갖기 어려운 현실

•4연:고난의 현실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고단한 삶

•5연:고뇌어린 삶에 대한 비극적 자기 인식

[주제] 쫓기는 삶에서 느끼는 비애

이육사, ⌜노정기⌟ 관련 문제(6문제)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명경(明鏡)에 틔 끼거든 갑주고 닷글 줄

아희 어룬 업시 다 밋쳐 알간마는

갑업시 닷글 명덕(明德)을 닷글 줄을 모라나다

 

성의관(誠意關)* 돌아들어 팔덕문(八德門)* 바라보니

크나큰 한길이 넓고도 곧다마는

엇지타 진일행인(盡日行人)이 오도가도 아닌 게오

 

구인산 긴 솔 베혀 ㉠제세주(濟世舟)를 무어 내야

길 잃은 행인을 다 건내려 하엿더니

사공도 무상(無狀)하야* 모강두(暮江頭)에 버렷나다

- 박인로, ‘자경가(自警歌)’

*성의관:뜻을 정성스럽게 하는 관문.

*팔덕문:여덟 가지 덕을 갖춘 문.

*무상하야:변변치 못하여.

 

(나)

목숨이란 마치 깨어진 뱃조각

여기저기 흩어져 마음이 구죽죽한 어촌(漁村)보담 어설프고

삶의 티끌만 오래 묵은 ⓐ포범(布帆)*처럼 달아매었다

 

[A][남들은 기뻤다는 젊은 날이었건만

밤마다 내 꿈은 서해(西海)를 밀항(密航)하는 쩡크*와 같아

소금에 절고 조수(潮水)에 부풀어 올랐다]

 

항상 흐릿한 밤 암초(暗礁)를 벗어나면 태풍(颱風)과 싸워가고

전설(傳說)에 읽어 본 ⓑ산호도(珊瑚島)는 구경도 못하는

그곳은 남십자성(南十字星)이 비쳐주도 않았다

 

쫓기는 마음 지친 몸이길래

그리운 ⓒ지평선(地平線)을 한숨에 기오르면

시궁치*는 열대 식물(熱帶植物)처럼 발목을 오여 쌌다

 

새벽 밀물에 밀려온 거미이냐

다 삭아빠진 소라 껍질에 나는 붙어 왔다

머—ㄴ 항구(港口)의 노정(路程)에 흘러간 생활(生活)을 들여다보며

- 이육사, ‘노정기’

 

*포범:베로 만든 돛.

*쩡크:정크(junk), 사람이나 짐을 실어 나르는 데 쓰던 배.

*시궁치:더러운 물이 잘 빠지지 않고 썩어서 질척질척하게 된 도랑의 근처.

 

(다)

눈 내려 어두워서 길을 잃었네

갈 길은 멀고 길을 잃었네

눈사람도 없는 겨울밤 이 거리를

찾아오는 사람 없어 노래 부르니

눈 맞으며 세상 밖을 돌아가는 사람들뿐

등에 업은 아기의 울음소리를 달래며

갈 길은 먼데 함박눈은 내리는데

[B][사랑할 수 없는 것을 사랑하기 위하여

용서받을 수 없는 것을 용서하기 위하여

눈사람을 기다리며 노랠 부르네

세상 모든 기다림의 노랠 부르네]

눈 맞으며 어둠 속을 떨며 가는 사람들을

노래가 길이 되어 앞질러 가고

돌아올 길 없는 눈길 앞질러 가고

아름다움이 이 세상을 건질 때까지

절망에서 즐거움을 찾아올 때까지

함박눈은 내리는데 갈 길은 먼데

무관심을 사랑하는 ⓓ노랠 부르며

눈사람을 기다리는 노랠 부르며

이 겨울 밤거리의 눈사람이 되었네

봄이 와도 녹지 않을 ⓔ눈사람이 되었네

- 정호승, ‘맹인 부부 가수’

 

1. (가)~(다)의 공통점으로 적절한 것은?

① 의문문의 형식으로 화자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② 반복과 점층으로 주제 의식을 강화하고 있다.

③ 공간의 이동에 따라 의식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④ 상징을 사용하여 부정적인 현실을 표현하고 있다.

⑤ 대화체를 사용하여 화자의 심경을 나타내고 있다.

 

2. <보기>를 참고하여 (가)를 감상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자경가(自警歌)’는 당대 인간과 사회에 대한 박인로의 사상을 잘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자신의 마음가짐과 행위에 대해 스스로 경계하기 위해 지은 노래이나, 스스로 반성할 줄 모르고 덕행을 멀리하며 사리사욕만을 추구하는 세상 사람들에게 정도(正道)를 걷도록 권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이 작품에서 박인로는 조국애·자연애를 사상적 바탕으로 무인다운 기백을 반영하고 신선미 넘치는 표현을 잘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자신의 정치적 포부를 실현할 수 없는 부정적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을 제시하고 있다.

① 1수의 ‘명경(明鏡)’과 ‘명덕(明德)’은 마음가짐과 행위에 대해 경계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시어이다.

② 1수의 ‘닷글 줄을 모라나다’는 부정적 세태를 비판하고 자연에 귀의하는 삶을 해결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③2수의 ‘성의관(誠意關)’, ‘팔덕문(八德門)’, ‘한길’로 이어지는 시적 표현은 인륜과 도덕을 비유한 작가의 참신한 표현으로 볼 수 있다.

④ 3수의 ‘제세주(濟世舟)’에는 무인다운 기백을 반영하여 조국을 구원하고자 하는 의지가 나타나 있다.

⑤ 3수의 ‘사공도 무상(無狀)하야’에서는 정치적 포부를 성취하지 못한 안타까운 심정을 노래하고 있다.

 

3. (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1연은 자신의 삶에 대한 화자의 인식을 담아내고 있다.

② 2연은 현재의 화자를 있게 한 시간과 과정을 드러내고 있다.

③ 3연은 희망을 갖기 어려웠던 과거의 아픔을 표현하고 있다.

④ 4연은 이상향에 대한 화자의 동경과 좌절을 서술하고 있다.

⑤ 5연은 부정적 삶에 대한 화자의 극복 의지를 제시하고 있다.

 

4. (다)를 시나리오로 제작하려 한다. 기획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배경은 추운 겨울 함박눈이 내리고 있는 저녁 무렵의 도심 속 거리로 설정하여 시 배경과 유사하게 한다.

② 사건은 맹인 부부 가수가 생계를 위해 모금함을 걸어 놓고 거리의 군중들에게 자선을 구하는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한다.

③ 맹인 부부의 얼굴을 C.U.하고 그들의 눈빛은 금방이라도 눈물을 흘릴 듯 연기하여 아무런 희망도 없어 보이는 모습으로 설정한다.

④ 무관심하게 지나치는 사람들의 모습과 차가운 겨울 날씨에 얼어붙은 듯한 맹인 부부의 모습을 O.L.하여 삭막한 도심의 분위기를 연출한다.

⑤ 함박눈에 덮인 맹인 가수는 어느새 희망의 상징인 눈사람이 되고 이를 비춰주는 조명은 밝은 빛으로 희망적인 느낌을 주도록 한다.

 

5. [A]와 [B]를 비교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와 달리, [B]는 청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적 상황을 표현하고 있다.

② [A]와 달리, [B]는 반복적 표현을 사용하여 주제 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③ [B]와 달리, [A]는 과거 시제를 사용하여 회상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④ [A]는 화자, [B]는 시적 대상의 내면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⑤ [A]와 [B] 모두 화자의 관조적인 시선을 통해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6. ⓐ~ⓔ 중 시어의 함축적 의미가 ㉠과 유사한 것은?

① ⓐ   ② ⓑ   ③ ⓒ   ④ ⓓ    ⑤ ⓔ

 

[정답과 해설]

1. ④ 2. ②  3. ⑤  4. ③  5. ⑤  6. ⑤

 

(가) 박인로, ‘자경가(自警歌)’

 전체 3수로 된 연시조로, 제목 ‘자경가(스스로를 경계하는 노래)’에서 알 수 있듯이 지은이가 자신의 마음가짐과 행위에 대한 경계를 위해 쓴 것이다. 또한, 스스로 반성할 줄 모르고 덕행을 멀리하며 사리사욕만을 추구하는 세상 사람들에게 정도(正道)를 걷도록 권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1수:덕 닦기를 게을리 하는 세태 비판

•2수:정도(正道)를 걷지 않는 세태 비판

•3수:세상을 구제할 수 없음에 대한 탄식

[주제] 부정적 세태에 대한 경계

(다) 정호승, ‘맹인부부가수’

 ‘기다림’과 ‘희망’이라는 관념적 이미지를 ‘눈사람’이라는 구체적 사물에 투영하여, 민중의 고통과 눈물이 희망과 기다림으로 아름답게 변주되는 모습을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이 시는 가난하고 추운 삶의 한 가운데 있는 민중의 고통과 눈물이 희망과 기다림으로 아름답게 변주되는 모습을 그린 노래이다.

•1, 2행:암울한 현실 제시

•3~11행:현실 극복의 의지

•12~16행:희망에 대한 강한 다짐

•17~21행:암울한 현실에 대한 극복 의지

[주제] 아름다운 세상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1. 표현상의 특징 파악

(가)~(다) 모두 부정적 현실을 상징하고 있다. (가)는 작품 전반에 부정적 세태가 상징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나)는 ‘흐릿한 밤’, ‘태풍’ 등의 시어에서, (다)는 ‘눈사람도 없는 겨울밤’, ‘어둠’ 등에서 상징을 확인할 수 있다.

(오답 풀이) ① (다)에서 의문문의 형식은 사용되지 않았다. ② 반복과 점층은 (다)에서만 제시되고 있다. ③ (가)에서는 ‘성의관, 팔덕문’ 등 지명이 나오고 (나), (다)에서는 지명이 나오거나 공간의 이동이 제시되었지만 이에 따른 의식의 변화는 서술되어 있지 않다. ⑤ (가)는 불특정한 청중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대화체 형식은 아니며 (나), (다)는 독백의 형식으로 서술되고 있다.

 

2. 배경 지식을 통한 작품 감상

덕행을 추구하고 사리사욕을 멀리 하는 태도를 제시한 것이지 자연에 귀의하는 삶을 제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시 세태를 비판하고 이를 개선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오답 풀이) ① 명경과 명덕에 대한 비유적 표현을 통해 세상의 그릇된 풍속을 교화시키고자 하고 있다. ③ ‘성의관, 팔덕문’ 등에서 인간이 갖추어야 할 덕과 정성을 누각과 문에 비유한 것을 참신한 비유로 볼 수 있다. ④ 세상을 구원하고자 하는 포부와 기개를 통해 무인다운 모습을 엿볼 수 있다. ⑤ 정계 진출에 대한 의욕이 좌절되어 이를 안타까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작품의 종합적 이해

5연에서는 좌절과 절망적인 분위기와 어조로 서술되고 있는 것이지, 극복 의지가 제시되지는 않았다.

(오답 풀이) ① ‘목숨이란~뱃조각’에서 방랑과 가난 등 외적인 고통을 형상화하고 있고 이에 시달린 화자의 내면적 아픔을 그리고 있다. ② ‘젊은 날’이라는 어휘에서 알 수 있듯이 화자의 과거 생활을 회상하고 있다. ③ 3연은 2연에 대한 부연으로 화자의 과거에 있었던 시련과 고난을 형상화하고 있다. ④ ‘그리운 지평선을 한숨에 기오르면’ 등에서 이상 세계를 동경하는 화자의 행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다시 ‘발목을 오여 쌌다’에서 좌절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4. 작품 영상화 방안의 적절성 평가

 맹인 부부의 얼굴을 클로즈업(C.U.)하면 힘들고 어려운 모습이 역력해도 희망이 제시되어야 한다. 노래를 부르는 그들의 모습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다.

(오답 풀이) ① 시에서 제시된 배경과 유사하게 눈 내리는 거리로 제시하여 적절하다. ② 맹인 부부가 노래를 부르는 모습은‘등에 업은 아기의 울음소리를 달래며’ 등을 통해 추리한다면 생계를 위해 자선을 구하는 모습으로 연상할 수 있다. ④ ‘사랑할 수 없는~노랠 부르네’ 등에서도 도시의 삭막함과 매정한 세태 등이 전제되어 있다. ⑤ ‘눈사람’은 구원과 사랑의 존재이므로 희망적인 모습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5. 시구 감상의 적절성 평가

 ‘관조적’이란 고요한 마음으로 사물이나 현상을 바라보는 것을 뜻한다. [A]는 자신의 경험에 대해, [B]는 대상의 심리를 표현하며 모두 어느 정도의 감정이 개입되어 있기 때문에 관조적이라 보기 어렵다.

(오답 풀이) ① ‘노랠 부르네’에서 청각적 이미지가 제시되었다. ② ‘~하기 위하여’의 표현을 반복하여 강조하고 있다. ③ 과거 시제(았/었)를 사용하여 과거 회상임을 표현하고 있다.④ [A]에는 화자의 내면 세계가 그려지고 있으며, [B]에는 관찰하는 대상의 내면을 엿볼 수 있다.

 

6. 시어의 함축적 의미 파악

 ‘제세주(濟世舟)’는 길 잃은 행인을 다 건네주는 구원자의 성격이다. 삭막한 도시를 사랑과 용서로 감싸는 ‘눈사람’도 동일한 구원자의 성격으로 볼 수 있다.

(오답 풀이) ① ‘포범(布帆)’은 삶의 티끌을 비유한 시어이다. ② ‘산호도(珊瑚島)’는 화자가 지향하는 이상 세계이다. ③ ‘지평선(地平線)’은 산호도와 유사한 화자의 이상향으로 볼 수 있다. ④ ‘노래’는 사랑과 용서를 담은 메시지이다. 하지만 구원의 주체는 아니므로 답이 될 수 없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