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가사문학사전_가사 문학 106편_원문, 현대역, 작품 해설, pdf파일

가사문학사전106편

by 국어벅스 2023. 4. 28. 20:17

본문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문학작품 사전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고전시가에서 출제순위 1순위 갈래인 가사 문학작품을 모았습니다. 가사문학은 시조와 함께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국문시가로 자리매김하여  풍부한 작품세계를 보여줍니다. 고전시가 갈래 중 시조와 가사는 수능에서 빠짐없이 출제되는 만큼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가사문학의 내용과 형식적 특징을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1.  고전시가 가사 문학의 개념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걸쳐 발생한 시가 형식. 가사(歌詞)와 가사(歌辭)라는 2가지 명칭이 있으며, 조선 전기에 지어진 100행 내외의 것을 가사(歌詞)라 하고,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장편의 것을 가사(歌辭)라 하여 그 둘을 구별하자는 견해도 있으나, 보통 구별하지 않으며, 그 중 가사(歌辭)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형식은 4음보 연속체로 된 율문(律文)으로 한 음보를 이루는 음절의 수는 3·4음절이 많고, 행수에는 제한이 없다. 마지막 행이 시조의 종장처럼 되어 있는 것을 정격(正格)이라 하고, 그렇지 않은 것을 변격(變格)이라 하기도 하는데, 정격은 조선 전기에, 변격은 조선 후기에 많이 나타났다. 가사의 장르적 특성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견해가 있다.

  ① 시가와 산문의 중간적 형태이다. 

  ② 율문으로 된 수필이다. 

 ③ 율문으로 된 교술문학(敎述文學)이다. 

➜ 이 3가지 견해는 모두 가사는 율문이되 서정시와는 달리 사물이나 생활에 관한 잡다한 서술로 이루어져 있음을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①에서는 가사가 시가문학에서 산문문학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장르라 했고, ②에서는 민요·경기체가(景幾體歌) 등의 형태로 오랜 역사를 지닌 교술운문이 시대적 요청에 따라 가사라는 특정 장르를 이루었다고 하였다.

 

 

2. 고전시가 가사 문학의 발달과  종류

 우리나라 가사 문학의 효시인 〈상춘곡〉은 송순의 〈면앙정가〉에 영향을 주었고, 그 제자 정철에 의해 〈성산별곡〉·〈관동별곡〉 등으로 이어지면서 강호가단江湖歌壇을 형성하게 되었다. 가사의 내용과 수사적 기법에서 가사문학의 전형적 틀을 완성하여 우리 시가문학사에 금자탑을 이루었다. 〈상춘곡〉은 40행으로 된 가사, 조선 사대부가사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봄을 맞아 산림에 묻혀서 유유자적하는 선비의 삶을 살겠다는 의지에서 시작하여 산림처사로 머무르는 자족감을 노래하고 있다. 또한 정계를 떠나 안빈낙도의 생애를 누리겠다는 작가의 생각이 아름다운 표현을 통하여 잘 묘사된 작품이다. 

 

⑴ 조선 초기

 조선 초기의 가사들은 안빈낙도(安貧樂道)하는 군자의 미덕을 자연 속에 묻혀 읊기도 하고, 군신 사이의 충의 이념을 남녀 사이의 애정에 비유하여 읊기도 하였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작가는 정극인 ·정철(鄭澈) ·박인로(朴仁老) ·송순(宋純) ·백광홍(白光弘) ·양사언(楊士彦) 등이다. 정극인의 《상춘곡》은 벼슬에서 물러나 자연에 묻혀 사는 은퇴한 관료의 생활을 읊은 대표적 작품이다.
 정철은 모든 것을 잊고 자연과 융합하고자 하면서도 세속적인 출세 욕구를 은유와 상징으로 노래하였는데, 《사미인곡(思美人曲)》에서는 화려한 이미지를 통하여 숭고미(崇高美)를, 세속적 출세에의 욕구를 남녀의 애정을 빌어서 은유화함으로써 비장미(悲壯美)를 창조해 내었다. 박인로는 곤궁(困窮)한 생활을 견디고 참는 체하며 청빈고고(淸貧孤高)한 선비로 자처하고 그런 생활을 즐겨하는 부류와는 달리 현실적인 생활의 근저를 반성하고 비판하는 눈을 가졌는데, 《누항사(陋巷詞)》에서는 안빈낙도하는 높은 뜻과는 달리 구차한 생활상만이 비참할 정도로 드러나 있고, 이러한 뜻과 현실의 괴리가 전란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박인로의 가사는 생활에 대한 구체적 관심을 지녀 제2기 가사에 근접해 있다. 

 

⑵ 조선 후기

 조선 후기의 가사는 현실주의적인 사고가 대두하고, 평민의 문학적 참여가 커져 가는 시대사조와 결부되어 전시대의 가사와는 다른 성격을 지녔다. 양반가사도 생활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려는 경향을 지녀 평민가사와의 거리가 단축되었으니,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는 그 좋은 예이다. 이와 같은 양반가사로는 기행가사(紀行歌辭)와 유배가사(流配歌辭)를 들 수 있다. 기행가사로는 영조 때 김인겸(金仁謙)이 통신사(通信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일본에 다녀와서 지은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와 고종 때 홍순학(洪淳學)이 지은 북경 기행가사인 《연행가(燕行歌)》가 대표적이다.
유배가사로는 송주석(宋疇錫)이 그의 조부 송시열(宋時烈)이 덕원(德源)으로 유배갔을 때 따라갔다 와서 지은 《북관곡(北關曲)》과 안조원(安肇源)이 남해의 외딴 섬으로 귀양가서 지었다는 《만언사(萬言詞)》, 철종 때 김진형(金鎭衡)이 명천(明川)으로 귀양가서 지은 《북천가(北遷歌)》가 대표적이다. 이 시기의 평민가사로서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는 작자 불명의 《우부가(愚夫歌)》 《용부가(庸婦歌)》 등이 있는데, 이 작품들은 전기 가사의 미의식을 완전히 극복하여 희극미(喜劇美)를 창조하였고, 패륜 ·불의 ·불선(不善)을 일삼는 악인을 풍자하는 비판정신을 담고 있다. 가창가사(歌唱歌辭)라 불리는 부류의 노래들도 역시 평민가사에서 큰 몫을 차지하는데, 잡가(雜歌)와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다.

 

3.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목차>

 가사 문학사전에는 주요 작품부터 낯선 작품까지 106편의 원문과 현대역, 작품 해제가 실려있습니다. <목차>를 참고하시어 자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가사 문학사전 106편

 

가사문학사전 106편.pdf
10.56MB

 

가사 문학사전 106편 <목차>

1 갑민가甲民歌 

2 거사가居士歌 

3 계자사戒子詞 

4 고공가雇工歌 

5 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 

6 관동별곡關東別曲 

7 관서별곡關西別曲 

8 권션징악가勸善懲惡歌 

9 권학가勸學歌 

10 권학가勸學歌 

11 귀산곡歸山曲 

12 규수상사곡閨秀相思曲 

13 규원가閨怨歌 

14 금강별곡金剛別曲 

15 금당별곡金塘別曲 

16 금루사金縷詞 

17 기음노래 

18 낙빈가樂貧歌 

19 남정가南征歌 

20 남초가南草歌 

21 낭호신사朗湖新詞 

22 노처녀가老處女歌 

23 노환가老患歌 

24 농부가農夫歌 

25 농부사農夫詞 

26 누항사陋巷詞 

27 단산별곡丹山別曲 

28 덕평별곡德坪別曲 

29 도덕가道德歌 

30 도산별곡陶山別曲 

31 도통가道統歌 

32 만분가萬憤歌 

33 면앙정가俛仰亭歌 

34 명월음明月吟 

35 매창월가梅牕月歌 

36 목동가牧童歌 

37 무호가武豪歌  

38 미인별곡美人別曲 

39 반조화전가反嘲花煎歌 

40 백상루별곡百祥樓別曲 

41 별사미인곡別思美人曲 

42 봉래별곡蓬萊別曲 

43 봉산곡鳳山曲 

44 봉선화가鳳仙花歌 

45 부여노정기扶餘路程記 

46 북관곡北關曲 

47 북정가北征歌 

48 불효탄不孝歎 

49 사미인가思美人歌 

50 사미인곡思美人曲 

51 사시풍경가四時風景歌 

52 상사별곡相思別曲

53 상사회답곡相思回答曲

54 상저가相杵歌

55 상춘곡賞春曲 

56 서왕가西往歌 

57 선상탄船上歎 

58 성산별곡星山別曲 

59 성주중흥가聖主中興歌 

60 속미인곡 續美人曲 

61 송여승가送女僧歌 

62 수남방옹가水南放翁歌 

63 순창가淳昌歌 

64 승답사僧答辭 

65 십계명가十誡命歌 

66 여손훈사女孫訓辭 

67 여승재답사女僧再答辭 

68 역대전리가歷代轉理歌 

69 영삼별곡寧三別曲 

70 용담가龍潭歌 

71 용부가庸婦歌 

72 용사음龍蛇吟 

73 용추유영가龍湫遊詠歌

74 우부가愚夫歌 

75 우활가迂闊歌 

76 임천별곡林川別曲 

77 입암별곡立巖別曲

78 절명사絶命詞 

79 재송여승가再送女僧歌 

80 조화전가嘲花煎歌 

81 창의가倡義歌 

82 천주공경가天主恭敬歌 

83 초혼사招魂詞 

84 총석곡叢石曲 

85 출새곡出塞曲

86 팔도읍지가八道邑誌歌 

87 탄궁가嘆窮歌 

88 탐라별곡耽羅別曲

89 태평곡太平曲

90 태평사太平詞

91 퇴계가退溪歌

92 회심가回心歌

93 회심곡回心曲

94 축산별곡竺山別曲 

95 낙지가樂志歌 

96 사미인곡思美人曲 

97 경술가庚戌歌 

98 향음주례가鄕飮酒禮歌 

99 충효가忠孝歌 

100 초당춘수곡草堂春睡曲 

101 백발가白髮歌 

102 사친곡思親曲 

103 원유가願遊歌 

104 석촌별곡石村別曲 

105 민농가憫農歌 

106 효자가孝子歌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