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국어사전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세상국어사전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375)
    • 2026수능특강문학사전 (4)
    • 2025수능특강문학사전 (1)
    • 2024수능특강문학사전 (75)
    • 국어모의고사사전 (62)
    • 가사문학사전106편 (106)
    • 시조문학사전74편 (17)
    • 고대가요향가문학사전 17편 (1)
    • 국어문법사전 (19)
    • 국어교과서해설사전 (38)
    • 논술기출사전 (2)
    • 경제용어사전700 (15)
    • 심리학사전 (34)

검색 레이어

세상국어사전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가사문학사전_17 기음노래(김매기노래)_작자 미상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30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16 금루사_민우룡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15 금당별곡_위세직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14 금강별곡_박순우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13 규원가_허난설헌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12 규수상사곡_작자 미상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11 귀산곡_침굉현변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 가사문학사전_10 권학가_최제우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2023.04.29 by 국어벅스

가사문학사전_17 기음노래(김매기노래)_작자 미상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작자 미상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17. 기음노래 ① 작품명 : 기음노래 ② 작자명 : 미상 ③ 출전 : 이병기, 《국문학개론》(일지사, 1965) ④ 해제 〈기음노래〉는 작자와 창작 연대를 알 수 없는 가사 작품이다. ‘기음’은 논밭에 난 잡풀을 뜻하는 ‘김’의 옛 표현으로, 〈기음노래〉는 곧 논이나 밭에서 잡풀을 제거하는 김매기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인 것이다. 농사를 지으면서 부르는 노래라는 점에서 〈농부가〉 종류에 속한다. 그러나 고단한 농민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현실비판 가사로 파악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대체로 작품의 내용은 농사를 짓는 농민들의 생활을 제시하고 그럼에도 가난을 ..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30. 14:14

가사문학사전_16 금루사_민우룡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민우룡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16. 금루사金縷詞 ① 작품명 : 금루사金縷詞 ② 작자명 : 민우룡(閔雨龍, 1732~1801) 민우룡은 조선시대 선비로 본관은 여흥. 자는 은경殷卿, 호는 취은정醉隱亭이다. 그의 집안은 고려 때부터 벼슬을 했으나 6대조인 기정에 이르러 을사사화를 만나 경상북도 문경에 내려와 살았다. ③ 출전 : 필사본 《영주재방일기瀛洲再訪日記》 ④ 해제 〈금루사〉의 형식은 3·4조와 4·4조로 구성된 단편 정형가사이다. 작품의 배경과 동기가 분명하고 형식이 정제되어 있다. 〈금루사〉는 기법상 적절한 용사用事를 원용하여 봉별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사와 환락, 훼절과 비련의 주정적 감정을 잘 드러냈다...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2:13

가사문학사전_15 금당별곡_위세직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위세직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15. 금당별곡金塘別曲 ① 작품명 : 금당별곡金塘別曲 ② 작자명 : 위세직(魏世稷, 1655∼1721) 위세직은 전남 장흥 출생으로 생애와 행적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많지 않다. 당쟁에 휘말려 1675년 장흥으로 유배 온 민정중(閔鼎重, 1628∼1692)의 문하에서 수학, 《동국여지승람》 장흥조 편찬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③ 출전 : 《삼족당가첩三足堂歌帖》 ④ 해제 〈금당별곡〉이 언제 지어졌는지 현재로서는 확인하기 어렵다. 이 작품의 작자를 밝히고 있는 위세보(魏世寶, 1669∼1707)의 《석병집石屛集》을 근거로 하면, 적어도 위세보가 세상을 뜬 해인 1707년 이전에 ..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2:10

가사문학사전_14 금강별곡_박순우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박순우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14. 금강별곡金剛別曲 ① 작품명 : 금강별곡金剛別曲 ② 작자명 : 박순우(朴淳愚, 1686∼1759) 박순우는 전남 영암 출생. 과거에 급제한 적도 있지만 호적 문제로 결국 취소되었고, 문장으로 명성을 얻었으나 벼슬에 나아가지는 못했다. 산수를 탐승하며 생애를 보냈는데, 평생소원이던 금강산 유람 후 가사 〈금강별곡〉과 기행문 〈동유록〉을 지었다. ③ 출전 : 석판본 《명촌유고明村遺稿》 ④ 해제 〈금강별곡〉은 작자의 나이 54살 때인 1739년에 지은 것으로, 한 달 남짓 금강산 일대를 유람하고 난 소회를 국한문혼용체로 진술한 유람기행가사다. 금강산 탐방 동기, 고향 영암의 소금강 탐..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2:07

가사문학사전_13 규원가_허난설헌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허난설헌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13. 규원가閨怨歌 ① 작품명 : 규원가閨怨歌 ② 작자명 : 허초희(許楚姬, 1563∼1589) 허초희는 조선중기의 여류시인으로 본관은 양천陽川, 호는 난설헌蘭雪軒, 별호는 경번景樊이다. 난설헌은 강릉江陵출생으로, 초당 허엽許瞱의 딸이며 허균許筠의 누이이다. 삼당파三唐派 시인 이달李達에게 시를 배워 천재적인 시재詩才를 발휘했다. ③ 출전 : 《고금가곡古今歌曲》 ④ 해제 이 작품은 조선 봉건사회제도 아래서 빈 방을 지키며 눈물로 세월을 보내는 여인의 한정恨情을 노래한 규방가사다. 3·4조를 기본 자수율로 이루고 있으며, 〈원부사怨夫詞〉라고도 한다. 작품을 시상전개에 따라 기·승·전·결..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1:57

가사문학사전_12 규수상사곡_작자 미상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작자 미상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12. 규수상사곡閨秀相思曲 ① 작품명 : 규수상사곡閨秀相思曲 ② 작자명 : 미상 ③ 출전 : 이용기李用基 편, 《악부樂府》(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④ 해제 이 작품의 작자는 알 수 없으며, 남성 화자가 짝사랑하는 여성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토로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규수상사곡〉이란 제목은 아마도 남성 화자가 규수(여성)를 짝사랑하는 노래라는 의미로 파악된다. 이 작품은 마음에 두었던 여인이 시집을 가버리자 그 절실한 그리움은 상사병相思病이 되어 이루지 못한 사랑을 탄식하는 내용이다. 이미 결혼을 한 사람이기에 잊으려고 애를 써보지만 화자는 그럴수록 상대에 대한 그리움이 깊..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1:53

가사문학사전_11 귀산곡_침굉현변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침굉현변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11. 귀산곡歸山曲 ① 작품명 : 귀산곡歸山曲 ② 작자명 : 침굉현변(枕肱懸辯, 1616~1684) 침굉현변은 어렸을 적에 불가에 큰 인물이 될 거라는 점괘를 받았고, 은사인 보광스님은 그를 부처님이 보내준 인물이라 감탄했다. 13세에 소요스님에게 그 법기를 인정받고 법맥을 계승. 18세에 죽을 고비를 넘긴 후 “마음이 곧 부처(심즉불心卽佛)”임을 깨닫고 일심一心을 중심 사상으로 삼았다. 침굉현변은 많은 제자들을 배출하였으며 조선후기에 소요문중이 주요 문중 활동을 하는데 큰 토대를 마련했다. 입적 후에는 시신을 들판에 버려 동물에게 보시하라는 유계遺戒를 남겼고, 제자들은 유훈에 따라..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1:51

가사문학사전_10 권학가_최제우_원문, 현대어 풀이, 작품 해설, pdf파일

국어 고전시가 가사 문학사전 100선_가사 _최제우_작품 해설 pdf 파일 출처: 한국명품가사100선 한국가사문학관 발행 10. 권학가勸學歌 ➀ 작자명 : 권학가勸學歌 ➁ 작자명 : 최제우(崔濟愚, 1824~1864) 최제우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성묵性默, 아명은 복술福述, 관명冠名은 제선(濟宣, 호號는 수운水雲이다. '제우濟愚'는 35세 되던 해에 어리석은 중생을 구제한다는 뜻으로 스스로 지은 이름이다. 1824년 12월 18일 경주 가정리稼亭里(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출생했다. 조선 말기의 종교사상가로 민족 고유의 경천敬天 사상을 바탕으로 유儒·불佛·선仙과 도참사상·후천개벽사상 등의 민중 사상을 융합하여 동학東學을 창시하였다. 그는 포교를 위해 〈용담가龍潭歌〉·〈안심가安心歌〉·교훈가〈敎訓歌..

가사문학사전106편 2023. 4. 29. 01:4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47
다음
TISTORY
세상국어사전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